반응형 전체 글24 야광충 찾기 / 서천 야광충 / 서천 비인해변 야광충 보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저도 야광충을 구경하고 와서 야광충에 대한 정보를 공유드릴려고 합니다.야광충은 바다의 반딧불이로 불리는 플랑크톤의 일종인데요.낮에는 분홍색을 띠지만 밤에는 충격을 받으면 파란색으로 빛을 발산합니다.그렇기때문에 낮에는 바닷가의 색깔이 분홍색이 있는 곳이 있다면 밤에도 보일 확률이 높습니다. ■ 야광충 정보야광충 정보는 카카오톡 오픈채팅에 있는 '야광충 정보 공유방'에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이 방에서는 매일 매일 야광충 위치가 공유되며 이를 통해서 시간낭비하지 않고 빠르게 야광충이 보이는 곳으로 찾아갈 수 있습니다.또한 야광충은 만조 1~2시간 전부터 잘 보이기 시작하는데요.만조에 대한 정보는 네이버나 다음에서 만조시간을 검색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야광충 등장 지역보통 서천이 .. 2024. 6. 8. 승강기 안전장치 유예 방법 / 승강기 정밀안전검사 연기, 유예 방법 / 승강기 정밀안전검사 연장 방법 ■ 정해진 기간 내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세번째 승강기 정밀안전검사를 도래했을 경우 네번째까지 연기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최근 뉴스에서 필요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운행이 정지되었다는 뉴스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이 경우가 바로 세번째 승강기 정밀안전검사에서 3년 유예를 하여 네번째 정밀안전검사가 도래했음에도7가지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전체 교체를 진행하지 않은 경우인데요...이와 같이 네번째 정밀안전검사가 도래했음에도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전 세대의 엘리베이터가 운행이 정지 될 수 있습니다.또한 이를 무시하고 운행을 감행하다가 갇힘 사고나 사람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한다면 이는 관리주체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세번째.. 2024. 6. 7. 승강기 정밀안전검사란? / 승강기 정밀검사 주기 / 승강기 정밀검사 정보 / 안전장치 연장방법 ■ 승강기 정밀안전검사란 ?승강기는 설치검사를 받은 날부터 15년이 지나면 [승강기안전관리법] 제32조에 따라서 3년마다 정기적으로 정밀안전검사를 받아야합니다.정밀안전검사란 ? 승강기 설치검사를 받았을때와 똑같이 정격하중을 실어본 상태로 브레이크, 추락방지안전장치 등의 안전장치를테스트하여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이 충분히 안전한지를 테스트하는 검사입니다.또한 정격하중 1000kg 승강기에 분동이라는 무게를 실어보고 과부하감지장치가 울리는지도 확인합니다. ■ 승강기 정밀안전검사 주기승강기 정밀안전검사의 주기는 매 3년마다 실시합니다.3년마다 동일하게 분동 업체에 분동을 따로 신청하셔야합니다.분동 업체는 제가 쓴 블로그 링크를 남겨둘테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승강기 분동 업체 / 승강기 정밀안전검사 분동 /.. 2024. 6. 4. 승강기 분동 업체 / 승강기 정밀안전검사 분동 / 승강기 분동검사 승강기는 15년 이후로는 노후 승강기로 분류가 되며 16년차에 정밀안전검사를 받게 됩니다.정밀안전검사는 매 3년마다 수검하게 되는데요. 정밀안전검사시에 꼭 하셔야할 것이 승강기 분동 업체에 분동을 따로 신청하는 것입니다.이는 승강기 안전검사 수검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따로 업체를 통하여 신청하셔야합니다. 과거에는 승강기안전공단에서 분동비까지 받아서 분동까지 하였지만, 이 업무를 사설 업체들에게넘김으로써 이제는 검사를 받는 수검자가 꼭 신청하셔서 받야아합니다. 하지만 처음 정밀안전검사를 수검해보시는 분들은 어디에 신청하셔야할지 막막하실텐데요.승강기 분동 업체 리스트를 준비해보았습니다...위의 사진을 보시면 여기의 리스트는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공식 홈페이지에등록된 분동업체현황입니다...위의 사진은 제가 .. 2024. 6. 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